공지사항
스팽크 림의 조인트 방법 과 기술 소개
림은 평면으로 긴 합금을 둥글게 가공하여 끝면을 붙여서 원형을 만듭니다.
각 제조사 마다 좋은 성능의 림을 만들기 위해 각각의 방법으로 제조를 하게 되는데요,
가볍고 강한 림을 위해 다양한 합금 소재도 사용하고,
충격에 강하게 하기 위해 특수한 모양의 내부면 설계도 하고, 타이어 비드를 물고 있는 사이드월의 설계도 다양하게 합니다.
림을 둥글게 이어 붙이는 조인트 부위는 가장 충격에 약한 부위가 됩니다.
그래서 이 조인트 기술이 얼마나 뛰어난지가, 가볍지만 강한 림을 만드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림을 둥글게 말아 접합하는 기술 (Joint) 은 크게 다음의 세가지로 이루어 집니다.
1. 슬리브 방식 Sleeved Joint
2. 핀 방식 Pinned Joint
3. 용접 방식 Welding Joint
▶ 슬리브 방식은 접합면의 형상과 동일한 슬리브를 안쪽에 덧대어 강력한 압착을 하여 붙이는 방식을 말합니다. 가장 강력한 접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용접처럼 고온의 열을 가하지도 않기 때문에 조인트부위가 약해지거나 합금의 금속 특성이 변하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슬리브를 정확히 가공하고, 양쪽을 정확하게 압착하는 정밀한 기술이 없다면 림이 정확하게 원형을 이루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슬리브 무게만큼 림의 무게가 무거워 지는 단점도 있습니다. 또한 림 내부에 슬리브를 덧대고 압착을 해야하는 어려운 공정때문에 생산 및 공정 시간도 길어지게 되어 제조원가도 높은 방식입니다. 그러나 잘 만들어진 슬리브 조인트로 된 림들은 가장 강력하고 안정된 내압 성능을 갖게 됩니다.
▶ 핀 방식은 슬리브 방식이 가지는 가격 부담을 낮추고 용접 방식 보다는 좀 더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 방법입니다. 슬리브 대신에 마치 못처럼 길게 생긴 핀을 대고 용접을 하여 림을 조인트 하는 방식입니다. 슬리브 방식보다 좀 더 빠르게 생산이 가능하고,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이 방식으로 AM/DH/FR/DJ 용 림을 만들고 있습니다.
▶ 용접 방식은 가장 쉽고 편하게 대량으로 림을 생산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전기 스팟 용접 방식으로 림을 용접하고, 용접면을 가공 처리하여 매끈하게 다듬어 완성하는 방식입니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림들이 이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습니다. 용접 방식의 단점은 충격에 다소 약하고, 용접면의 합금 성분이 고온의 용접으로 인해 금속 성질이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가장 가볍게 림을 제조할 수 것이 장점이기 때문에 충격이 많지 않은 도로용이나 XC용으로는 아주 적합합니다.
스팽크는 슬리브 방식 제조 기술에서 탁월한 가공 기술 및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계속하여 발전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벼우면서도 가장 강력한 내구성의 림들을 제조할 수 있는 것입니다. 스팽크의 거의 모든 림들은 스팽크 고유의 슬리브 조인트 제작 기술로 제작되어 가볍지만 놀라운 내구성을 갖고 있습니다. 슬리브 방식으로 조인트 가공된 림들은 찾아보기도 어렵지만 (비용과 어려운 공정때문에), 스팽크 림처럼 가벼운 무게를 갖고 있지는 못합니다. 스팽크의 우지/서브로사/스파이크 시리즈의 모든 림들은 슬리브 방식으로 제작되어 어떠한 환경에서도 강력한 라이딩을 보장합니다.
가벼울수록 장점을 최대화 할 수 있는 XC용 림인 보맥스 시리즈는 스팽크 림 중에서 유일하게 용접방식으로 만들어 집니다. 보맥스에 사용된 용접 방식은 일반 용접이 아닌 "FlashWeld" 이라는 특수 공법으로 제작되어, 합금의 열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용접면적을 극대화하여 용접 방식으로는 가장 강력한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350g의 초경량이면서도 더트 점프를 해도 망가지지 않는 보맥스림의 비밀은 바로 최고급 소재인 "Dynamal Alloy"를 사용하여 "FlashWeld" 로 만드는 것 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